KOICA 월드프렌즈 코리아 자원봉사 2021-12-27 ~ 2022-12-27
아드라 코리아 국내 자원봉사 (6개월)
아드라 방글라데시 해외 자원봉사 (6개월)
봉사단원 - 현지 Project Manager
<aside> <img src="<a href="https://iconscout.com/icons/bangladesh" class="text-underline font-size-sm" target="_blank">Bangladesh</a> by <a href="https://iconscout.com/contributors/iconscout" class="text-underline font-size-sm" target="_blank">IconScout Store</a>" alt="<a href="https://iconscout.com/icons/bangladesh" class="text-underline font-size-sm" target="_blank">Bangladesh</a> by <a href="https://iconscout.com/contributors/iconscout" class="text-underline font-size-sm" target="_blank">IconScout Store</a>" width="40px" /> 방글라데시 밀풀 슬럼가 지역 학교 밖 청소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직업교육 및 취업 프로그램 지원
프로젝트 중간 단계
프로그램 종결 단계
</aside>
**
<aside> ▫️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 취업하기 전까지 해외 자원봉사를 나가, 더 많은 문화와 사람들을 접하며 새로운 문화권과 사람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싶었습니다. 2021년 개발협력을 공부할 당시, 로힝야 난민촌의 이슈가 급격히 부상하기 시작했고, 장 지글러의 ‘인간섬’이라는 책을 접하며 난민들의 삶과 생활에 흥미가 생겨, 더 늦기 전에 방글라데시 자원봉사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해 2022년 1월부터 6개월간 국내 봉사를 진행하고 6월 중순부터 12월 말까지 방글라데시 파견을 떠났습니다.
</aside>
<aside> ▫️ 1.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은 문화권에 대한 이해였습니다. 방글라데시는 특이하게도, 여성이 대통령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81% 이상이 이슬람 종교를 갖고 있어, 여성의 인권이 존재하지 않는 나라였습니다. 여성의 인권이 존재하지 않는 나라에서 최하층민 중에서도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웠습니다. 프로그램 참여 도중, 남성의 구혼을 거절했으나, 부모의 구혼 동의로 인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결혼하게 되어 프로그램을 중퇴하게 된 참여자가 있었습니다.
코로나의 3차 대유행으로 인해, 가족구성원의 생활비 지출을 줄일 수밖에 없었던 방글라데시 사람들은, 여성 자녀를 조혼시키고, 결혼 예물을 통해 생활비를 충당하는 행태의 조혼이 한 문화로 정착합니다. 방글라데시 전국 여성의 18세 이전 조혼율은 51%에 달했으며, 미용 프로그램 참여자의 평균연령이 18세였으나, 참여자의 30%가 이미 아이가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슬람 종교의 특성상, 슬럼가 1가구당 평균 7~8명의 가족구성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슬럼가 거주민들은 의료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부모님의 건강 상태 악화로 인해, 대부분 생계를 자식들이 도맡아야 했으며, 당장의 생활비를 마련할 수 없어, 프로그램을 중퇴한 인원도 많았습니다. 프로그램 유지의 관건은 생활비 보장이었습니다.
방글라데시의 미용 종사자가 성매매에 연관될 것이라는 인식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어,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가족을 설득하고, 프로그램 참여를 지속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웠습니다. 또한 매년 5만 명의 방글라데시 국민이 인도로 인신매매를 당하고 있으며 그 대상으로 미용 안마사가 타깃이 되고 있어, 해당 업종에 대한 불신과 걱정이 매우 컸습니다. 이에 따라 참여자들이 주위 사람들의 비난을 듣는 상황도 발생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용업 인식개선 행사를 주최하여, 참여자들과 미용 종사자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으며 참여자들의 진지한 프로그램 참여태도과 미용업의 발전 가능성을 공유하여, 지인들의 미용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부식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1차년도 사업이기에, 현지에서 기틀이 정착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의 지속성을 위해 많은 어려움과 문제들을 해결해야 했습니다. 언어적 문제와 불안정한 정치 상황, 치안과 위생, 전기 공급 등이 있었으나, 끊임없이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지인 및 전문가에게 자문하며,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한 끝에, 1차년도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습니다.
</aside>